- 이전글 [Hot Issue] 핵융합 스포츠카가 떴다?! (0) 2016-04-27
- 이전글 수소의 두 얼굴 (0) 2016-03-10
- 이전글 이세돌-알파고 대국과 핵융합 (0) 2016-03-09
- 현재글 [Science Magazine] 강력한 자기장을 뿜어내는 ‘난쟁이 별’ 이 떴다? (0) 2015-12-29
- 다음글 [Science Magazine] 핵융합의 연료, 중수소와 삼중수소 (0) 2015-11-16
- 다음글 미드 ‘빅뱅이론’ 그리고 핵융합 (0) 2015-10-13
- 다음글 ‘겨울왕국’ 엘사 장갑과 토카막의 관계 (1) 2015-10-08
201512.29
[Science Magazine] 강력한 자기장을 뿜어내는 ‘난쟁이 별’ 이 떴다?
지구를 포함하여 우주에 있는 많은 행성들은 ‘자기장’을 뿜어내고 있습니다. 행성 자체가 거대한 영구자석의 성질을 띠고 있기 때문이죠. 이 자기장은 우주에 떠다니는 많은 양의 방사선과 태양에서 발생하는 태양풍 등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류가 우주 방사선을 걱정하지 않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것도 지구가 내뿜는 자기장 덕분입니다.
얼마 전 과학자들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거대한 망원경, 알마(ALMA) 전파망원경을 통해 놀라운 행성을 발견하였습니다. ‘난쟁이별’이라고 별명이 붙여진 이 별은 지구보다 크기는 작지만 태양만큼 강력한 자기장을 내뿜고 있었죠. ‘난쟁이별’, 도대체 정체가 무엇이길래 과학자들을 열광하게 만드는 걸까요?
난쟁이 별의 이름은 TVLM 513-46546
질량이 작고 어두운 적색의 빛을 내 ‘적색왜성’으로 분류되는 ‘난쟁이 별’은 천문학계에서 ‘TVLM 513-46546’으로 불립니다. 지구에서 약 35광년 거리에 있는 이 별은 거의 2시간마다 한 바퀴씩 자전을 할 정도로 빠르게 돌고 있습니다. 태양의 자전 주기가 25일, 지구의 자전 주기가 약 24시간인 점에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강력한 자기장을 내뿜는 ‘난쟁이 별’
하지만 이 별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엄청난 자기장을 내뿜고 있다는 점입니다. 크기는 태양의 10분의 1 정도로 매우 작은 별이지만,만들어 내고 있는 자기장의 세기는 태양이 만들어내는 가장 강력한 자기장 세기와 필적할만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동안에 과학자들은 태양이 자기장을 생성하는 물리적 과정을 생각해 보았을 때, 난쟁이별처럼 작은 별에서 강력한 자기장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왔습니다. 하지만 알마(ALMA) 망원경을 통해 난쟁이별을 관측해 본 결과 난쟁이별이 엄청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과학자들은 놀랄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과학자들은 이 별의 기이한 자기장이 태양의 플레어와 같은 폭발이 지속해서 일어남으로써 발생한다고 예상하고는 있지만, 난쟁이별과 유사한 형태의 별들이 모두 동일한 성질을 갖는 것인지, 아니면 이 별 만의 독특한 특징인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합니다.
난쟁이별을 주목하는 이유
난쟁이별의 존재가 이처럼 주목받는 이유는 난쟁이별과 같은 적색왜성의 강한 자기장이 우주에서 생명체를 발견하는 데 의미있는 나침반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난쟁이별과 같은 적색 왜성들은 태양만큼 뜨겁지 않아서 주변에 거느린 행성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태양보다 덜 뜨거운 만큼 충분한 열을 받기 위해선 태양과 지구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적색 왜성 주변을 공전해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 모든 적색왜성이 난쟁이별처럼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을 경우, 가까운 곳에서 공전하는 행성들은 강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생명체가 살아남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연구를 이끈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문학센터의 피터 윌리엄스 박사는 “만일 이런 별이 우리 주위에 있었다면, 우리는 어떠한 위성 통신도 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이런 폭풍우가 치는 듯 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진화하기에는 극단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난쟁이별의 사례만을 들어 우주에 생명체가 없다고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오히려 지속적으로 연구를 해나갈 과학자들이 우주 비밀에 다가갈 새로운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봐야겠죠? 앞으로도 우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의 발견과 연구들을 통해 점차 밝혀져갈 우주의 비밀이 더욱 기대됩니다
- 9
- 23
- 23
- 24
- 26
- 이세돌-알파고 대국과 핵융합 (0)
- 이전글
-
- 이세돌-알파고 대국과 핵융합 (0)
- 이전글
댓글 0건